전체 글(1012)
-
백리향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낙엽 반관목 높은 산꼭대기나 바닷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 3∼15cm이다. 원줄기는 땅위로 퍼져나가고 어린 가지가 비스듬히 서며 향기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5∼12mm, 너비 3∼8mm이다. 양면에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털이 난다.꽃은 6월에 분홍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2∼4개씩 달리며 지름 7∼9mm로서 가지 끝부분에 모여 나므로 수상꽃차례같이 보인다. 작은꽃자루는 털이 나며 길이 약 3mm이다. 꽃받침에 10개의 능선이 있다. 화관은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고 길이 7∼8mm로 겉에 잔털과 선점이 있다. 수술은 4개이다. 열매는 작은 견과로서 9월에 짙은 갈색으로 익는다.줄기가 좀더..
2024.05.08 -
마가렛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말진실한 사랑, 예언, 사랑을 점친다, 비밀을 밝힌다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1m 정도이다. 가지가 많으며 밑 부분은 목질이다. 잎은 깃 모양으로 길게 갈라지며, 쑥갓잎처럼 생겼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흰색, 노란색 따위의 두상화(頭狀花)가 피는데 들국화와 비슷하다. 꽃이 피어 있는 기간이 길다. 아프리카 카나리아 섬이 원산지이다. 다른꽃들과 배합보다 같은무리가 더아름답다, 내생각^^
2024.05.08 -
루피너스
속명의 Lupinus는 라틴어 ‘lupus(이리)’라는 뜻으로 본 속의 식물이 토질을 황폐시킨다는 뜻에서 유래. 높이 1.5m 정도 자라는 1년초다. 줄기는 직립하여 길게 자라며 털이 있다. 잎의 길이는 2~5cm로 폭이 좁고 길면서 장상복엽(掌狀複葉)으로 흰색을 띤 녹색이다. 작은 잎은 7~9매로 엽병(葉柄)은 아주 길다. 화경은 15~25cm 정도 길게 자라며 푸른색, 흰색, 자색, 황색 등 다양한 색의 꽃이 총상화서(總狀花序)로 윤생(輪生)하며 핀다.이용부위 : 꽃, 잎, 줄기, 뿌리, 씨앗이용방법 : 서로 다른 여러 종의 씨앗을 볶아서 분말로 만들어 독소를 제거하는데 사용하거나 커피 대용품으로 이용한다. 씨앗은 가루를 내서 피부 미용을 위해 지방질을 줄이거나 피부에 윤기를 주기 위해 스팀마사지 또..
2024.05.08 -
델피니움
미나리아재비과, 쌍떡잎식물, 큰제비고깔, 제비고깔 속명의 'Delphinium'은 그리스어의 'delphin(돌고래)'이라는 뜻으로 꽃봉오리가 돌고래와 비슷한 데서 붙여졌으며, 2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여러해살이풀 또는 한해살이풀로서 산지에서 곧게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세 갈래로 갈라진 손바닥 모양이다.꽃은 7∼9월에 피는데 총상꽃차례·수상꽃차례·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2∼4개, 꽃받침은 5개이며 아랫부분에 꿀주머니가 있다. 아시아·유럽·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에 자생하는 것으로는 큰제비고깔과 제비고깔이 있다.큰제비고깔은 높이가 1m 정도 되며, 잎은 자루가 길고 단풍잎 모양이다. 고깔 모양의 짙은 보라색 꽃이 가지 끝에 달린다. 경기도와 강원도 태백산맥, 휴전선 고지 등 중부지방과 ..
2024.05.08 -
작약
속명의 'paeony'는 그리스신화에서 이 식물을 약용으로 최초 사용한 'Paeon'의 이름에서 유래됨.줄기는 여러 개가 한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잎과 줄기에 털이 없고 뿌리가 굵다. 잎은 어긋나며 밑부분의 잎은 작은잎이 3장씩 한두번 나오는 겹잎이다. 윗부분의 잎은 3개로 깊게 갈라지기도 하며 밑부분이 잎자루로 흐른다. 작은잎은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나 때로는 2~3개로 갈라지며, 잎맥부분과 잎자루는 붉은색을 띤다. 잎표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줄기끝에 1개가 피는데 재배한 것은 지름이 10cm 정도이다. 꽃색은 붉은색, 흰색, 분홍색 등 다양하며 많은 원예품종이 있다.꽃받침은 5개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까지 붙어 있고 가장 바깥쪽의 것은..
2024.05.08 -
할미꽃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3월말~4월 이른 봄 양지바른 들판에서 자라며 붉은색의 꽃을 피운다.줄기와 꽃자루에 흰 솜털이 빼곡하게 나고 잎은 자루가 길고 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다.꽃이 지고 그 자리에 흰색의 줄기털이 촘촘한 열매가 달리는데 그 모습이 할머니의 흰머리를 닮았다고 할미꽃이라 부르게 되었다.한의학에서는 백두옹으로 부르며 줄기와 뿌리를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출처: 두산백과 두피디아[네이버 지식백과] 할미꽃 (식물 - 두산백과 두피디아) 꽃말은 ‘충성’, ‘슬픈 기억’.제주도에 사는 가는잎할미꽃, 북한 지역에서 사는 분홍할미꽃과 산할미꽃, 동강에서 1997년 발견된 동강할미꽃 등의 할미꽃 속 식물이 우리나라에 산다. 다른 할미꽃은 아래를 향해 꽃피는 반면 동강할미꽃은 ..
2024.05.08